지극히 개인적인 공부 노트/근-본(Roooooooooooot)

[Internet] '인터넷'의 시작

AS J 2021. 7. 26. 23:45
언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할 수 있게

1. 기원

1) 누가

미국 국방부 산하의 고등 연구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

2) 언제

2차 세계대전, 핵전쟁이 끝난 후 1960~1970년대

3) 어디서

미국

4) 어떻게

(1) 기존의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보다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방식이 매우 견고하고, 생존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

(2)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연구소 간 연결(최초의 2 노드 간 상호연결) - 현재 인터넷망의 시초(ARPANET, 아파넷)

5) 왜

핵전쟁까지 끝난 1960년, 미국은 통신시스템의 심각한 취약점(중앙집중적)을 극복하기 위해 분산된 통신시스템을 연구했다. 이 과정 속에서 고등 연구국의 연구용 네트워크가 생겨나고, 이후 군사용 네트워크 밀네트(MILNET)로 발전되었다. 연구 과정에서 패킷 교환 방식을 채택하고, UCLA와 SRI연구소를 연결했는데, 이 통신망이 현재 인터넷망의 시초인 아파넷(ARPANET)이 되었다.

1983년 1월 1일 ARPANET이 NCP 패킷 송출을 중단하지만, 별도로 1986년 미국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5곳의 슈퍼컴퓨터 센터를 연결하여 NSFnet을 만들었고, 1980년대 말에 ARPANET이 흡수통합되며 대학, 연구소, 정부기관, 기업 등 세계 모든 곳을 연결하는 국제통신망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1989년에는 그래픽 환경이 개선, 월드와이드웹(WWW)이 등장하면서, 기존에 교육, 공공목적으로 사용되던 네트워크 기술에 민간 기업이 참여, 상업적 목적으로 서비스가 추가, 이용자층 또한 여러 계층으로 확산되며 점차 지금의 인터넷 모습을 띄게 되었다.

6) 일화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이다. 1982년 5월 15일 전길남 박사 주도하에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현 ETRI) 사이에 구축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한국 최초의 인터넷이 되었다. 1993년에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실시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PC와 초고속 인터넷이 빠르게 보급, 김대중 정부의 과감한 초고속 인터넷망 투자로 인해 미국이나 일본보다 앞선 인터넷 문화를 만들었다.

 

2. 활용

인터넷은 1960년에 등장하고, 1900년대 후반까지 교육, 공공기관 등 상위 계층, 엘리트를 위한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 모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다. 흔히 웹과 인터넷을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알고 있지만, 인터넷이 웹의 상위 개념이다. 인터넷이 길이라면 웹은 자동차이고, 인터넷이 도시라면 웹은 그 도시 안의 건물이다.

인터넷은 애초에 어떤 일이 있어도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며, 우리는 모두 그 목적을 100% 활용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와이파이, 데이터만 있다면 사용할 수 있고, 그렇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이런 인터넷의 순기능을 이용해서 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

 

3. 인터넷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pYOEy_mAM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