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5

[SQL] 키(Key)(feat. 유일키, 복합키, 외래키)

키(Key)란, 데이터베이스에서 튜플(또는 레코드, 행) 간 구분을 위한 값 또는 속성이다. 키는 유일키, 복합키, 외래키 등이 있으며, SQL에서 이러한 키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유일키(Primary Key) 테이블에서 튜플(레코드, 행)을 구분 지어주는 고유 식별 값(속성)이다. 유일키로 설정되는 값(속성)은 중복되거나 NULL이 될 수 없다. -- 여기서 테이블명이나 속성명 등은 따옴표가 아니라 백틱(`)으로 감싸준다는 것을 명심할 것 CREATE TABLE `테이블명`{ `속성명1` 타입, `속성명2` 타입, ... PRIMARY KEY(`유일키로 설정할 속성명`) }; 복합키(Composite Key) 두 개 이상의 속성을 활용하여 일종의 묶음으로써 다른 값(속성) 묶음과 구분 지어주..

[SQL] 대표적인 DDL 명령어(feat. CREATE, SHOW, USE, ALTER, DROP)

DDL은 'Data Definition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 자체에 대해 생성,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 DDL에서는 대부분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 이름, 컬럼 이름 등에 대해 따옴표(', ")가 아닌 백틱(`)으로 감싸주기 때문에 이를 유의하며 쿼리를 사용해야 한다. 생성, CREATE 데이터베이스 또는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쿼리문.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 이름은 백틱(`)으로 감싸준다. -- 데이터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MyDB`; --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_MyTable`( '속성명' 타입, -- 테이블을 생성할 때 속성명은 따옴표로 감싸줘도 됨. '속성명2' 타입, ..

[SQL] 테이블에서 데이터 검색 및 조회하기(feat. 테이블, 컬럼, 레코드)

1. 테이블(Table)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이란 컬럼(Column)과 레코드(Record)로 구성된 표를 말하는데, 사실상 우리가 평소에도 알고 있는 표를 떠올리면 된다. 여기서 컬럼은 각 자료의 영역, 속성을 의미하는 열, 레코드는 각 열에 따른 데이터 값을 지닌 행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은 각각의 고유한 이름으로 구분되어야 하며, 컬럼과 레코드도 각 단어의 의미를 알고 구분해야 한다. 2. 데이터 검색 및 조회하기 주어진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가져올 때, 출력할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SQL은 한 문장의 명령어 끝에 세미콜론(;)을 작성함으로써 다른 명령어와 구분을 해야 하고, 세미콜론 없이 엔터로만 구분되어 있다면, 하나의 명령어로 인식한다. 또, 명령어 자체는..

[SQL] 'SQL'의 시작

탄생 이후 40년이 지나도 건재한 데이터베이스 조작 언어 1. 기원 1) 누가 도널드 D. 챔벌린, 레이먼드 F. 보이스 2) 언제 1976년 3) 어디서 IBM San Jose 연구소 4) 어떻게 관계형 모델과 그것의 튜플적 해석이라는 이론적 기초로부터 파생되어 설계되었다. 5) 왜 SQL의 시작인 SEQUEL은 IBM의 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R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수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입력 릴레이션(테이블)으로부터 원하는 출력 릴레이션을 사상(mapping)시키는 언어로써, 1973년에 SQUARE(Structured Queries as Relational Expressions)이라는 언어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수학적인 표현이 많아서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웠는데 1974년에..

[Python] 매우 기초적인 Python 크롤링하는 법(feat. 간단한 DB 설명)

1. 크롤링이란? '크롤링'은 정의하자면 검색 엔진(네이버, 구글 등) 로봇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흔히 개인이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퍼오는 행위인 '스크랩핑' 또한 크롤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크롤링 하는 법 코딩을 통해 크롤링을 하기 위해선 2가지 핵심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원하는 페이지의 HTML을 요청하는 것, 두 번째는 요청을 통해 가져온 HTML 중 필요한 데이터만을 잘 골라내는 것입니다. 이를 파이썬에서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선 먼저 임포트(import) 해야 하는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임포트 할 라이브러리는 requests, beautifulsoup가 있으며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임포트 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