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3

[Web] '웹서버'란?

인터넷이 동작하는 원리에 필요한 컴퓨터는 단 2대. 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웹클라이언트)와 요청에 응답,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웹서버)가 필요하다. 웹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듯이, 웹서버 또한 엔진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웹서버 소프트웨어에는 Apache, Nginx, IIS 등이 있다. 이 중 Apache는 웹서버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고, 오픈소스인 소프트웨어이다. 이런 웹서버 프로그램을 직접 컴퓨터에 설치하고 운영해보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자.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18892 웹서버 운영하기 - 생활코딩 웹서버 소개 --- 이번 시간에는 내 컴퓨터에 웹서버를 설치해서 누구나 내 컴퓨터에 있는 웹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해..

[Web] AWS 가상 서버 이용하기(2) - 가상 컴퓨터에서 서버 파일 실행하기

저의 경우에 아주 간단한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AWS를 통해 가상 서버를 만들고 이용해봤고, 아래와 같은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1. AWS 인스턴스 생성(가성 서버 생성과 같은 의미입니다.) 2. 깃 배시(Git bash)를 통해 내 노트북에서 가상 서버 컴퓨터로 접속 3. 파일 질라(File Zilla)로 가상 서버 컴퓨터에 내 프로젝트 파일 복사 4. 가상 컴퓨터에 있는 프로젝트 원격 실행 및 원격 종료 4개의 과정 중 1번, 2번 과정은 아래 링크의 글에 작성했습니다. https://as-j.tistory.com/44 [Web] AWS 가상 서버 이용하기(1) -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 스타트업이나 개인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제작한 웹 페이지를 24시간 돌아가는 서버를 통해 모두에게 서비..

[Web] AWS 가상 서버 이용하기(1) - AWS 인스턴스 생성하기

스타트업이나 개인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제작한 웹 페이지를 24시간 돌아가는 서버를 통해 모두에게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개인 프로젝트로 원페이지 쇼핑몰 웹 페이지를 만들면서, 만든 파일을 AWS(Amazon Web Service)를 이용해 24시간 돌아가는 클라우드 가상 서버에 연결한 방법을 정리해본 글입니다. AWS를 통해 가상 서버를 만들고, 이 가상 서버에서 제가 만든 프로젝트를 실행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1. AWS 인스턴스 생성(가성 서버 생성과 같은 의미입니다.) 2. 깃 배시(Git bash)를 통해 내 노트북에서 가상 서버 컴퓨터로 접속 3. 파일 질라(File Zilla)로 가상 서버 컴퓨터에 내 프로젝트 파일 복사 4. 가상 컴퓨터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