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IT 이슈 23

[스크랩]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단점과 국내외 시장 동향

기업에서 어떤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물리적인 서버, 운영체제(OS),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이전에는 필요한 하드웨어 사양과 업체, 서버와 스토리지 구입 등의 개발 환경 구성에 많은 시간과 기회비용이 발생했습니다. 현재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인해 신속하게 만들어낼 수 있게 됐는데, 이렇게 다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을 쉽고 빠르게 제공해주는 클라우드의 장점과 단점, 국내외 시장 동향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장점 1) 정량적 장점: 개발 환경 구성에 필요한 IT 자원을 소유가 아닌 공유 및 대여의 개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HW/SW의 구매/유지 및 인건비, 유지 보수 등의 비용 절감, 완성형 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시간 단축 등이 있습니다. 2) 정성적 장점: 인..

[스크랩] 삼성SDS 스토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 5편

앞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하 DT) 1~3편에서는 DT에 대한 설명과 현재 서비스 업계와의 관계 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이 DT를 실제 업체에서 구현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이를 이 원본 글에서는 기업이 DT 대상에 접근하는 형태에 따라 구분했습니다. 전자, 중공업, 화학, 제약 등 오래전부터 사업을 영위해왔던 전통 기업의 접근법과 네이버, 카카오 등의 포털 기업, 엔씨소프트, 넥센 등의 게임사,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 기업, 배달의 민족, 마켓컬리 등의 O2O(Offline to Online) 기업이 속한 디지털 기반 기업의 접근법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전통 기업은 이미 정보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에 DT를 적용하고,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등의 신기술을..

[스크랩] 삼성SDS 스토리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3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T)은 현재 IT 서비스 업계의 화두입니다. 말 그대로 디지털 전환을 뜻하는 이 단어는 '무언가를 디지털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디지털로 바꿀까요? 이에 대한 답은 우리 일상을 둘러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한 손에 들어오는 스마트폰을 통해 거의 모든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옛날이었다면 아날로그로 직접 듣고, 봐야 알 수 있었던 음악, 미술 작품, 지도 등이 모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서 스마트폰 하나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즉, 어떻게 보면 세상을 디지털로 바꾸는 것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도착점이라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현재 IT 서비스 업계에..